• About Us
  • 우박스튜디오는 기술이 제시하는 환상적 미래와 개인이 경험하는 현실 사이의 간극을 감각적이고 서사적인 방식으로 탐구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듀오입니다. 작가는 기술 이미지를 그대로 수용하기보다, 그 이면에 감춰진 불협화음과 소외의 구조를 드러내며 '기술 환상의 해체자'로서 비판적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의 기술 시스템은 점점 더 투명하고 매끄러운 환경을 구축하며, 인식 가능한 정보에 명확한 위치와 명칭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세계를 재구성합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분류되지 못한 감각들, 데이터화되지 않은 신체의 움직임, 지도에 나타나지 않는 장소와 이야기들은 점차 삭제되거나 무시되기 쉬운 위치에 놓입니다. 우박스튜디오는 이들의 흔적을 따라가며, 시스템의 경계 밖에 놓인 존재들의 감각을 복원하고 그들만의 서사를 상상하는 방식으로 기술과 현실의 관계를 조명합니다.

    작가는 디지털 지도, AI 분할 알고리즘, 인터페이스 신체 등 기술 매개 환경의 권력 구조를 드러내며, 기술이 현실을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현실을 재구성하는 작동원리로 작용한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이를 시각적 언어로 드러냅니다. 대표작 《Escape Maps》(2021~2023) 시리즈에서는 디지털 지도 시스템에서 배제된 데이터와 이에 얽힌 이야기들을 새로운 지도 위에 다시 구성합니다. 특히 《Escape Maps: The Phantom》(2023)은 구글 지도 리뷰어들과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플랫폼이 인간의 감정과 기억을 어떻게 데이터화하고 배제하는지를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풀어냅니다. 《Future Utilization of the Body》(2021) 시리즈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신체가 어떻게 기록되고 왜곡되며, 동시에 소외되는지를 시적으로 재구성합니다. 제스처가 하나의 미래적 기억으로 작동하는 상황에서, 신체의 감각적 회복 가능성을 탐색하는 실험적 신체 리서치 작업입니다.

    작가는 기술 사회에서 배제된 존재들의 세계, 감지되지 않는 감각의 층위들을 다양한 미디어, 인터랙션, 서사적 장치를 통해 시각화하며 기술의 시선에 포착되지 않는 세계를 다시 구성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관객은 단순한 감상자가 아니라 경험의 공동 창작자로 설정되며 실시간 인터랙션과 참여형 서사 구조를 통해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새로운 감각을 발견하고, 기술적 현실을 스스로 다시 읽어내는 다감각적 경험을 제안합니다.

    Ubac Studio is a media artist duo that explores the gap between the idealized futures envisioned by technology and the tangible realities of individual human experience. Rather than passively accepting the images presented by technology, we critically examine the dissonances and structures of exclusion that lie beneath these polished surfaces, continuing our practice as "dismantlers of technological illusions."

    In contemporary society, technological systems increasingly construct seamless and transparent environments, reorganizing the world through the allocation of fixed positions and names to perceivable information. Yet in this process, unclassifiable sensations, bodily gestures that resist datafication, and unmapped places and stories are gradually erased or rendered invisible. Our work traces these overlooked fragments—restoring the sensory presence of marginalized existences and reimagining their narratives—as a way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reality.

    Our practice reveals the power structures embedded within technologically mediated environments such as digital maps, AI segmentation systems, and the interface-driven body. We approach technology not as a neutral tool for describing reality, but as a system that actively constructs and excludes. These questions are translated into a visual language that exposes the operations of technological systems.

    The Escape Maps (2021–2023) series reconstructs stories and data omitted from mainstream mapping platforms onto alternative cartographies. In particular, Escape Maps: The Phantom (2023) draws from interviews with Google Maps reviewers to investigate how human emotion and memory are datafied and excluded by platform logic, presented in the form of an interactive documentary. Future Utilization of the Body (2021) poetically reconfigures how the body is recorded, distorted, and marginalized within digital systems. As gestures become archived as "memories of the future," this work examines the potential for sensory recovery through experimental body research.

    Through diverse media, interaction, and narrative devices, we visualize the worlds of excluded beings and imperceptible sensory strata—constructing alternative realities that escape the gaze of technological systems. We invite audiences not as passive viewers, but as co-creators of experience, proposing multisensory structures that allow them to discover new sensibilities at the threshold of reality and illusion, and to re-read technological realities on their own terms.

    CONTACT

    Email: ubacstudio@gmail.com
    SNS: instagram @ubac_studio

    SOLO EXHIBITIONS

    2021. Future Utilization of the Body. 온라인
    2021. mŏror projcet : 망설임의 풍경. Gallery meme, Seoul KR
    2025. (upcoming) Inflated Space, Flattened Sense(가제), TINC, Seoul KR

    SELECTED PROJECTS/EXHIBITIONS/SCREENINGS

    2025. LEFT TECH, 탈영역 우정국, Seoul KR
    2024. 하이퍼 슈퍼 엑스라지 … 펑!, 탈영역 우정국, Seoul KR
    2023. ZER01NE DAY 01 HABITAT, 에스팩토리, Seoul KR
    2023. Powerhouse Late x Club 4A: Future No Future, Powerhouse Museum, Sydney AU
    2023. VU-UPDATE 2023 : Borderless, The Square, Seoul KR
    2023. 아뜰리에 광화 : 봄으로부터, 광화문광장 미디어 파사드 기획전, Seoul KR
    2022. VU-UPDATE 2022 : Making the Chain!, Alterside, Soeul KR
    2022. Montreal International Animation Film Festival - ANIMAZE, Montreal CA
    2022. Unfold X, Shaping the future: 기술이 매개하는 새로운 예술생태계. 에스팩토리, Seoul KR
    2022. Aesthetica Short Film Festival. Bootham School Art Centre, York UK
    2022.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 탑골미술관&아트스페이스 이색, Seoul KR
    2022. The Fine Arts Film Festival (FAFF). Venice USA
    2022. printf(˝Human odyssey˝) 미디어특별전: 휴먼 오디세이. 천안시립미술관, Cheonan KR
    2021. 경로를 이탈하였습니다. 오픈스페이스 배, Busan KR
    2021. 부산 레지던시 대전(對展). F1963, Busan KR
    2021.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nemaf). 롯데시네마 홍대, Seoul KR
    2020 - 2021. Play on AI. 아트센터 나비, Seoul KR
    2020. Sandbox Immersive Festival. Hangzhou CN
    2019. Creative Code. 아트센터 나비, Seoul KR
    2019. Contemporary Landscape. CICA Museum, Gimpo KR

    AWARDS/GRANTS/RESIDENCE

    2025. 다원예술 창작산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3. 제12회 서울시 좋은빛상 공모전 최우수상, 서울특별시, Seoul KR
    2023.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아트체인지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3. HYUNDAI·KIA ZER01NE Creator, Seoul KR
    2022. Nominee, Animaze Animation Awards, Montreal CA
    2022. 예술창작활동지원 (다원), 서울문화재단, Seoul KR
    2022. 융합예술창제작지원 Unfold X, 서울문화재단, Seoul KR
    2022. 자문밖아트레지던시, 자문밖아트포럼, Seoul KR
    2021. AIR ‘Open to You’ 오픈스페이스 배 국제 레지던스 프로그램, Busan KR
    2021. 3, 2, wrm, Action!, whatreallymatters, Seoul KR
    2021. 예술기술융합지원사업(아트앤테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1.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아트체인지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9. City Rhythm, Prix Ars Electronica Honorary Mentions, Linz AT

    PROFESSIONAL EXPERIENCE

    2025. LG Art Class «Move Move Stage2» collaboration with a.com, LG Art Center, Seoul KR
    2024. AI VR Experience «DREAM US» collaboration wiht SNU HCID Lab
    2024. LG Art Class «Move Move Stage» collaboration with a.com, LG Art Center, Seoul KR
    2023. 광화문 광장 시민참여형 미디어아트 «Ai to Love», Seoul KR
    2023. «THE ORIGIN : STEPHEN» 에스팩토리, Seoul KR/Sound Interaction, Visual Art
    2023. 실감 콘텐츠 «조선의 하늘과 땅-내손안의 곤여만국전도, AR 혼천시계» 실학박물관, Namyangju KR/Supervisor, Programming
    2023. 체험형 미디어아트 «THE ORIGIN : ISAAC» 서울대학교 파워플랜트, Seoul KR/Visual Art
    2023. 체험형 미디어아트 «Deep Ocean» 뮤지엄 딥다이브, Pyeongchang KR/Interactive Artist
    2022. 몰입형 미디어아트 «어제의 내일» 광화원, Seoul KR/Visual Artist
    2022. 디지털 실감 영상 «경기사대부 잔치로의 초대» 경기도박물관, Yongin KR/Interactive Artist
    2022. 실감 콘텐츠 «시간을 달리는 인천» 인천시립박물관, Incheon KR/PM
    2022. 실감 콘텐츠 «김구와 홍진에게 듣는 인천의 독립운동» 인천시립박물관, Incheon KR/Interaction Design, Programming
    2022. 실감 콘텐츠 «조광» 애기봉생태공원, Kimpo KR/Interactive Artist
    2021. 실감 콘텐츠 «둥섭의 바다_우리의 바다» 중랑아트센터, Seoul KR/Interactive Artist
    2021. 실감 콘텐츠 «판타지아 소나기» 황순원 문학관, Yangpyeong KR/Interactive Artist
    2021. 고립과 고독의 연대, 제주도립미술관, Jeju KR/Graphics
    2020. D’strict : Arte museum, Jeju KR/Level Designer
    2019. Decalcomani, ArtLab, 한국영화아카데미, Seoul KR/Graphics
    2018. AI Incubator 국립중앙과학관, Daejeon KR/Interactive Artist

    TEACHING EXPERIENCES & ADVISOR

    2024. 꿈나눔: 찾아가는 진로멘토, 충청남도진로융합교육원
    2024. 아트코리아랩 수퍼 테스트베드 테크멘토
    2023.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증강현실x퍼포먼스 교육 '스크린 여행자', 서울시립미술관, Seoul KR
    2022. 기술입은문화예술교육 미디어감독 및 교육, 구리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Guri KR
    2022. SNU 10-10 Project Unity 3D 강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Seoul KR
    2021. 학교밖 융합교육 <무한한 공간 저 너머로> 자문, 아트센터나비, Seoul KR
    2021. SNU 10-10 Project Unity 3D 강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Seoul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