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img","src":"https://cdn.quv.kr/t4t7m7m9u%2Fup%2F5d021d9874a39_1920.png","height":"60"}
  • HOME
  • ABOUT
  • ARTWORKS
  • UBAC STUDIO
  • ARCHIVE
  • {"google":["Barlow"],"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
     
     
    섹션 설정
  • HOME
  • ABOUT
  • WORK
  • ARCHIVE
  • CONTACT
  • {"type":"txt","text":" U b a c","font_size":"20","font_weight":"bold","font_family_ko":"Nanum Barun Gothic","font_family_en":"Barlow","color":"#000000","letter_spacing":0}

    The Protrait of Multitasker

    EEG Sensor, Display| 불시착토마토 | 2017


    ‘The Protrait of Multitasker’ 는 디지털 시대에 여러 능력을

    요구받으며 살아가는 현세대인들의 사고방식에 대한

    자화상이며, 일상을 비워놓지 못해 그 밀도에 지친 사람들에게 제안하는 휴식같은 작업이다.

     우리는 한 번에 많은 일을 하는 것에 익숙해졌고, 

    이제는 할 일이 없으면 불안해한다. 

    빈 시간을 그대로 두지 못하고, 채우려고 하는 강박적인 심리는

    대해 왜 일어나는 가에 대해 정의 해보고 이를 풀어내려고

    시도한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 작업이다.


     작품은 "여가 강박 개념화 연구." 김용희·장훈·허태균 2010,

    "멀티태스킹에서 자발적 과제전환에 의한 인지적 이득과 손실."

    이상민·이주환·한광희 2013, "한주연.2016."디지털 상호성의

    적용을 통한 예술 치료게임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등과

    같이 가득 찬 일상에서의 일의  효율성 연구 및 디지털 매체에

    익숙해진 세대를 다루기 위한 ‘e-therapy’ (뉴미디어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논문 리서치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디지털 새로운 환경의 가장 큰 특징인 멀티태스킹 기능이

    우리에게 영향을 끼쳐 ‘여러 개의 레이어 창이 사고방식에도

    깃들기 시작했다’ 고 가정하고, 휴대폰 인터넷에서 보이는

    수 많은 레이어에 비유하여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이 레어어들을 이용해  멀티태스킹을 할 때 나의 뇌는

    어떤 상태인지 작품 화면에 보여지며, 복잡하던 강박들을

    정리하고 아무 생각을 하지않을 때, 작품속 레이어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로세싱과 뇌파센서를 사용해 진행한 이 작업은, 

    뇌 파형 중에 휴식과 안정기에 관찰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행되었다. 관객이 자신의 레이어가 하나로 포개지는 것을

    보고, 비어놓음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가질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The Protrait of Multitasker is a self-portrait of the

    mentality of the modern generation of people

    who live in the digital age, demanding multiple abilities.

    We get used to doing a lot of things at once.

    This work like a break for people who are tired of the

    density because they can't leave their daily lives empty.

    when there's nothing to do, we're nervous, because

    multitasking,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a new digital

    environment, affects us, so, I made a hypothesis like this,

    "Multi-Tasks, the layered windows have begun to

    permeate our mindset." 


    We analyzed the beginning of obsessive psychology and

    looked at the data that studied the efficiency of work

    accordingly. As the generation has become accustomed

    to digital media, I thought we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field of e-therapy, which uses NewMedia to provide

    psychotherapy. 


    Visually, if you're running multiple apps on your

    cell phone, you can see a lot of windows piled up

    like layers. I think this is a multitasking model, and

    you can see your brain is layered in this artwork.

     It's an interactive media art. Using processing

    and brain sensor, it's done with data from the

    brain wave that's been observed when

    the human is rest and stable. 


    Direct - Woo Hyeunjoo


     자료

    김용희·장훈·허태균. 2010. "여가 강박 개념화 연구."

    전환성. 2011. "디지털 매체의 인지적 특성 연구, 뇌파검사(EEG)." 

    이상민·이주환·한광희.2013."멀티태스킹에서 자발적 과제전환에

    의한 인지적 이득과 손실."

    유정수·홍선미.2014."스마트 환경에서의 마음치유용 디지털

    워크북 개발을 위한 탐색."

    한주연.2016."디지털 상호성의 적용을 통한 예술 치료게임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남정옥. 2007."뉴로피드백의 현 주소와 예술 치료와의 만남

    (뇌파 심리치료의 응용)." 

     

    The Portrait of Multitasker

    EEG Sensor, Display | 2017

     

    ‘The Portrait of Multitasker’는 현대인들의 사고방식에 대한 자화상이며, 일상을 비워놓지 못해 그 밀도에 지친 사람들에게 휴식을 제안한다.

    우리는 한 번에 많은 일을 하는 것에 익숙해졌고, 오히려 할 일이 없을 때 불안해한다.

    작품은 ‘비어있음’에 대한 현대인들의 강박적인 심리를 탐색하고, 이를 관객의 뇌파를 활용해 풀어낸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업이다.

     

    디지털 시대,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스크린의 가장 큰 특성은 여러 개의 정보를 한꺼번에 띄울 수 있다는 것이다.

    스크린 위의 팝업 스크린, 스크린 뒤의 스크린, 탭으로 나열된 스크린들이 하나의 출구을 통해서 동시에 펼쳐진다.

    스크린이 보여주는 동시다발적인 특성은 이제 현대인의 사고방식에 녹아들었고, 머릿속에 여러 개의 스크린을 띄워 끊임없이 정보를 왕복한다.

     

    작품은 끊임없이 창을 생성하고 소비하는 흐름과 반대로, 관객이 어떠한 행동과 생각을 하지 않고 비워두게 한다.

    이때, 화면에 분산된 삼원색을 표현한 원들은 운동을 멈추고 온전한 하나의 원으로 합쳐지게 된다.

    작품을 통해 ‘비어있음’에 대한 고정적인 관념을 해체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가질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이 작업은 휴식과 안정기에 관찰되는 뇌파 데이터를 수집하여 진행되며,  여가 강박, 일상에서의 일의 효율성 연구 및

    디지털 매체에 익숙해진 세대를 다루기 위한  ‘e-therapy’ (뉴미디어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다양한 논문들을 참고하며 제작되었다.

     

     

    "The Portrait of Multitasker" is a self-portrait of modern people's way of thinking

    and suggests taking a break to those who are tired of pressure from day to day life.

    We're used to doing multiple works at once, so we're nervous if there is nothing to do.

    This work is an interactive media artwork that explores modern people's obsessive psychology about "emptiness"

    and solves it using the audience's brain waves. The biggest feature of screens we face every day in the digital age is that

    they can float multiple pieces of information at once.  Pop-up screens on the screen, screens behind the screen,

    and screens listed as tabs unfold simultaneously through one exit. The simultaneity of the screen has now

    become a way of our thinking, so we move back and forth between information by floating several pop-up screens in our heads. 

     

    Contrary to the constant flow of creating and consuming windows, the work leaves the audience blank without any action or thought.

    At this moment, the three circles, which represent the three primary colors distributed on the screen, stop exercising and merge into one.

    The work with this positive feedback make the fixed notion of 'empty' soft.  
    For this work, brainwave data from a break and stability is collected and observed, studied with leisure compulsion and the efficiency of daily tasks.
    We also refer to various papers on 'e-therapy' (psychotherapy using new media) to address the generation familiar with digital media.

     

     

    Direct - Woo Hyeunjoo

     

    자료

    김용희·장훈·허태균. 2010. "여가 강박 개념화 연구."

    전환성. 2011. "1-1.디지털 매체의 인지적 특성 연구, 뇌파검사(EEG)."

    이상민·이주환·한광희.2013."멀티태스킹에서 자발적 과제전환에 의한 인지적 이득과 손실."

    유정수·홍선미.2014."스마트 환경에서의 마음치유용 디지털 워크북 개발을 위한 탐색."

    한주연.2016."디지털 상호성의 적용을 통한 예술 치료게임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남정옥. 2007."뉴로피드백의 현 주소와 예술 치료와의 만남 (뇌파 심리치료의 응용)."

     

     

    othic","Nanum Barun Gothic","Noto Sans KR"]}{"google":["Barlow"],"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Noto Sans KR"]}{"google":["Barlow"],"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Noto Sans KR"]}
    {"google":["Barlow"],"custom":["Noto Sans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