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ween Two Points
Media Projection | 2019
집에서 업무공간으로, 업무공간에서 휴식공간으로, 일주일, 때로는 일 년 이상 같은 장소로의 이동을 반복한다.
매일같이 간접적으로 지나가는 길, 가야만 하는 장소, 더 이상 새로움이 보이지 않는 익숙해진 거리와 그 시간에 권태롭다.
우리는 권태로움을 벗어날 무언가를 찾아내려 끊임없이 애쓴다. 잠을 자거나 책,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등 이동과 상관없는 외부의 행동을 연장하고, 시선을 돌린다.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하는 순간, 우리가 애써 찾아 헤맸던 행동들은 의미를 잃고 사라져 버린다.
<Between two points>은 출발과 목적지의 두 지점 사이에서 무의미하게 사라지는 이동의 시공간을 조명한다.
도시를 멀리서 관조하는 화자가 눈길이 닿는 대로 상상하는 이미지들은 이동하는 공간 속에 엉키고 뒤섞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시간을 엮어낸다.
관객은 화자의 시선을 따라가며 자신의 사라진 이야기를 채워나갈 사유의 시간을 갖게 된다.
|
Men of today are stuck in the same routine, from home to work and back—that lasts a week, or sometimes as long as a year.
We’re bored of the same route we follow every day, the place we are forced to go, the all-too-familiar streets,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we spend there.
The struggle to find an exit from the boredom is constant. We use a snooze, a book, a smartphone, and so on as way outs so we can turn away from the act of movement itself.
The moment we get to our destination, however, those we strived to find disappear into the void of meaninglessness.
<Between Two Points> focuses on the time and space between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that is doomed to futility and vanishing.
The images that the speaker, who contemplates a city from a distance, randomly imagines as she gazes around get tangled and jumbled in the space, ceaselessly woven into new dimensions of time.
The audience is invited to follow the speaker’s gaze and have a few minutes of contemplation that will help fill the hole in their own stories.
Between Two Points
Media Projection | 2019
현대인은 집에서 업무공간으로, 업무공간에서 휴식공간으로,
일주일, 때로는 일 년 이상 같은 장소로의 이동을 반복한다.
매일같이 간접적으로 지나가는 길, 가야만 하는 장소, 더 이상
새로움이 보이지 않는 익숙해진 거리와 그 시간에 권태롭다.
우리는 권태로움을 벗어날 무언가를 찾아내려 끊임없이
애쓴다. 잠을 자거나 책,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등
이동과 상관없는 외부의 행동을 연장하고, 시선을 돌린다.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하는 순간, 우리가 애써 찾아 헤맸던
행동들은 의미를 잃고 사라져 버린다.
<Between two points>은 출발과 목적지의 두 지점 사이에서
무의미하게 사라지는 이동의 시공간을 조명한다.
도시를 멀리서 관조하는 화자가 눈길이 닿는 대로 상상하는
이미지들은 이동하는 공간 속에 엉키고 뒤섞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시간을 엮어낸다. 관객은 화자의 시선을 따라가며
자신의 사라진 이야기를 채워나갈 사유의 시간을 갖게 된다.
Men of today are stuck in the same routine, from home
to work and back—that lasts a week, or sometimes as long
as a year. We’re bored of the same route we follow every day,
the place we are forced to go, the all-too-familiar streets,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we spend there.
The struggle to find an exit from the boredom is constant.
We use a snooze, a book, a smartphone, and so on as way
outs so we can turn away from the act of movement itself.
The moment we get to our destination, however, those we
strived to find disappear into the void of meaninglessness.
<Between Two Points> focuses on the time and space
between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that is doomed
to futility and vanishing.
The images that the speaker, who contemplates a city
from a distance, randomly imagines as she gazes around
get tangled and jumbled in the space, ceaselessly woven
into new dimensions of time.
The audience is invited to follow the speaker’s gaze and
have a few minutes of contemplation that will help
fill the hole in their own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