맵 탈출 투어: Escape Maps
<맵 탈출 투어: Escape Maps>는 웹, 핸드 드로잉, 이미지와 공간 스캔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지도를 재구성하고, 그 공간을 탐험하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는 ‘맵을 탈출하는’ 게임 유저들의 행위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게임이 제시하는 본래의 미션을 뒤로하고 게임 속 버그를 활용해 게임의 구성 방식을 탐색하는 ‘맵 탈출 유저’들 처럼, 디지털 지도에서 갈 수 없던 곳을 자발적으로 탐험한다.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어 제거된 스트리트 뷰, 완공 예정인 아파트 단지와 같이 예측된 미래가 선점한 공간, 불확실한 미래 속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흐려지는 백사마을 등 이익구조에 의해 디지털 지도에 포함되지 못한 사건들을 가져와 지도 안에 재구성했다. 디지털 지도가 현실을 반영하는 것을 넘어서서 현실로 인식되고 역으로 현실을 구축하는 청사진의 역할을 하는 현재.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지도의 주관성을 드러내고, 선별·탈락된 데이터의 기준에 질문을 던지며, 그 경계 밖의 존재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되돌아보게 한다.
1.
비대면 시대의 도래와 함께 대부분의 활동이 온라인으로 대체되면서, 비물리적 세계는 적극적으로 환영(歡迎) 받는다. 나의 아바타가 학교, 회사로 구축된 가상공간을 돌아다니며 업무, 수업 등 사회적인 활동을 대신하고, 언제든지 관람할 수 있는 웹 전시관이 구축되었으며, 스트리트 뷰를 클릭하며 랜선 여행을 즐긴다. 기술이 보여주는 생경하고 무한한 환영(幻影) 속, 오늘날 미지의 세계는 더 이상 정글이나 사막과 같은 전통적인 탐험 장소가 아닌, 데이터로 묘사되지 않는 공간, 카메라에 건물로, 길로써 인식되지 않는 공간, 정보 없음의 공포성을 띤 공간으로 대체된다. 물리적 공간은 데이터로 번역·전송되어 가상공간에 완벽히 현상되었다고 여겨진다.
데이터를 축적하며 모든 것을 매끈한 시스템으로 다져가고 있는 흐름 속에서도 안내방송과 다른 방향으로 열리는 지하철 문, 막다른 길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지도 앱에서 계산되지 않는 높낮이 있는 지형[1]들과 같이 ‘어긋난 데이터’들이 현실 세계를 왜곡한다. 모든 것이 데이터로 번역되고 유지되는 세계에서 기존의 데이터와 어긋난 현실은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디지털 지도는 완벽한 현실의 재현이 될 수 있을까?[2]
2. 디지털 지도의 구성
완벽한 현실의 재현이자, 현실을 재구성하는 청사진이 되어가는 디지털 지도를 중심으로, 현실이 번역되는 과정과 방법, 구조를 들여다본다. '정확한' 현실을 지도에 구현하기 위해 현실의 불확실성은 어떻게 처리되고 있을까. 일시적인 환경은 시간과 효율성을 변수로 업데이트되고[3], 미처 파악하지 못한 데이터의 사각지대는 플랫폼 생태계의 바운더리 속에서 자발적으로 공유된 데이터(리뷰, 사진, 피드백 등)를 통해 현실과 동기화된다. 개인들의 플랫폼 노동을 통해 공유된 데이터 일부는 불투명한 기준으로 탈락된다. 이미지만으로 만들어진 세계[4] 속에서 경험은 완벽히 통제가 가능해지고, 현실은 여러 번 시뮬레이션된다.
완벽한 디지털 지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가치를 부여받지 못하고 탈락한 데이터들, 관점들과 그 속의 사건들을 함께 살펴본다. 어디까지가 승인되고 탈락하는 데이터일까?
- 당신의 경험을 가장 빠르게 공유하세요[5]
- 97%의 사람들은 모르고 행한 인류공헌[7] / reCaptcha[8]
탈락된 데이터
- 기계학습과 지도 업데이트[11]
- 위치와 방향성 개선을 위해 선택, 탈락된 데이터들[12]
- 스트리트뷰에서 제거된 독일의 집들에 대한 의견들[14]
- 스트라이샌드 효과[15]
- 구글 지역 가이드 유저가 제공한 삭제된 밤의 스트리트뷰는 삭제되었습니다.[15-1]
어긋난 데이터
- 트랩 스트리트[16]
3. 사건들
디지털 지도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아날로그 지도의 제작, 표현방식[17]에서 제작 목적과 당대를 바라보는 관점[17-1] 등이 관찰되는 것과 같이, 현재의 디지털 지도와 연결된 사건들을 깊이 들여다보며 그 속에서 중요하게, 반복적으로 다뤄지는 것, 복합적인 위치에서 서로 얽혀있는 동시대의 관점들을 이끌어낸다.
디지털 지도와 얽힌 사건들
- 기억의 부속물로서의 스트리트뷰와 통제할 수 없는 기록됨[18]
- 코스타리카와 니카라과 분쟁의 중심에서[19]
- 리투아니아와 에스토니아의 세금 속임수 적발에 대한 댓글[20]
- LA의 도시교통문제[21]
- NYPD의 검문소 삭제요청[22]
- 인공위성의 촬영 해상도[23] / What Spatial Resolution Is Enough?[24]
4. 가상현실과 역재현
선별되고 해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실이 다시 재현되기 시작한다.[25] 가상현실로서의 디지털 지도와 그곳에 담긴 새로운 욕망들[26]. 가상의 ‘맵’에서 발생한 새로운 룰(Rule)이 다시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가 혹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 ‘완벽한 현실’은 어떻게 현실에서 분리되는가.
- 스트리트뷰 속 자동차로부터 추정되는 인구통계의 활용[27]
- 기계학습을 통해 '빅데이터'가 되는 스트리트뷰 이미지 [28]
- 거리수준의 환경인식과 그린캐노피 인식 개선 [29]
- 디지털 트윈 싱가포르 [30]
가상의 맵에서 발생한 새로운 룰
- 매핑의 미래는 게임의 과거일지도 모른다.[32]
- 게임 속 지도의 비밀[33]
- 게임과 자율주행 학습[34]
5. 맵탈출[31]과 해킹 문화
게임 맵 밖으로 탈출하기 위해 실제 유저들은 게임이 제시하는 본래의 목적(미션)을 뒤로 하고, 대각선으로 걷기, 공간 사이 틈에 끼이기, 땅 아래로 내려가기 등 게임 속 버그를 활용해 주어진 조건을 축소, 증폭하며 게임의 구성 방식을 탐색하고 미지의 공간을 점유한다.
게임 속 공간을 자발적으로 탐색하는 맵탈출 행위를 통해 아직 디지털 맵에 구축되지 않은 물리적 공간들을 탐험하고, 플랫폼 방식을 오용하여 디지털 지도와 가상 공간을 해킹한다. 현실을 복제, 번역하며 새로이 구축되는 가상공간에 대한 개념을 탐색해 나가는 현재, 선별되지 못하는 순간적이고 유동적인 모습들을 가상공간에 업로드하고, 비가시적인 필터링을 통해 탈락된 데이터에 대한 화두를 던지면서 탈락된 것들이 사실 무엇으로 부터의 탈락인지 다시 생각해본다.
6.
공간의 시공간적 데이터를 포함하며, 사실대로, 있는 그대로 보여지[34] 는 3D 공간 스캐닝, 다각도에서 촬영한 사진데이터를 분석 후 공간으로 생성해주는 서비스들을 이용해 현실을 복제한다.
2021년 여름, 부산에서 레지던스 작업으로 구글 스트리트뷰 가이드라인에 맞추되 보편적 기대와 어긋난 스트리트뷰를 제작, 업로드했다.
5개월이 지난 현 시점(2022.04), 업로드한 6개의 스트리트뷰 중 하나는 현재 구글맵에서 보이지 않게 되었다. 업로드한 이미지 중 가장 현실과 닮은 이미지이지만 하늘이 어두워 밤으로 분류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맵 탈출 투어: Escape Maps
가변 크기, 실시간 인터랙티브 설치, 데이터 비주얼리제이션, 홀로그램 영상 (컬러, 사운드), 어플리케이션 (컬러), 2022
러닝타임 (max 30'00 - min 5'00)
<맵 탈출 투어: Escape Maps>는 웹, 핸드 드로잉, 이미지와 공간 스캔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지도를 재구성하고, 그 공간을 탐험하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는 ‘맵을 탈출하는’ 게임 유저들의 행위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게임이 제시하는 본래의 미션을 뒤로하고 게임 속 버그를 활용해 게임의 구성 방식을 탐색하는 ‘맵 탈출 유저’들 처럼, 디지털 지도에서 갈 수 없던 곳을 자발적으로 탐험한다.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어 제거된 스트리트 뷰, 완공 예정인 아파트 단지와 같이 예측된 미래가 선점한 공간, 불확실한 미래 속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흐려지는 백사마을 등 이익구조에 의해 디지털 지도에 포함되지 못한 사건들을 가져와 지도 안에 재구성했다. 디지털 지도가 현실을 반영하는 것을 넘어서서 현실로 인식되고 역으로 현실을 구축하는 청사진의 역할을 하는 현재.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지도의 주관성을 드러내고, 선별·탈락된 데이터의 기준에 질문을 던지며, 그 경계 밖의 존재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되돌아보게 한다.
1.
비대면 시대의 도래와 함께 대부분의 활동이 온라인으로 대체되면서, 비물리적 세계는 적극적으로 환영(歡迎) 받는다. 나의 아바타가 학교, 회사로 구축된 가상공간을 돌아다니며 업무, 수업 등 사회적인 활동을 대신하고, 언제든지 관람할 수 있는 웹 전시관이 구축되었으며, 스트리트 뷰를 클릭하며 랜선 여행을 즐긴다. 기술이 보여주는 생경하고 무한한 환영(幻影) 속, 오늘날 미지의 세계는 더 이상 정글이나 사막과 같은 전통적인 탐험 장소가 아닌, 데이터로 묘사되지 않는 공간, 카메라에 건물로, 길로써 인식되지 않는 공간, 정보 없음의 공포성을 띤 공간으로 대체된다. 물리적 공간은 데이터로 번역·전송되어 가상공간에 완벽히 현상되었다고 여겨진다.
데이터를 축적하며 모든 것을 매끈한 시스템으로 다져가고 있는 흐름 속에서도 안내방송과 다른 방향으로 열리는 지하철 문, 막다른 길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지도 앱에서 계산되지 않는 높낮이 있는 지형[1]들과 같이 ‘어긋난 데이터’들이 현실 세계를 왜곡한다. 모든 것이 데이터로 번역되고 유지되는 세계에서 기존의 데이터와 어긋난 현실은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디지털 지도는 완벽한 현실의 재현이 될 수 있을까?[2]
2. 디지털 지도의 구성
완벽한 현실의 재현이자, 현실을 재구성하는 청사진이 되어가는 디지털 지도를 중심으로, 현실이 번역되는 과정과 방법, 구조를 들여다본다. '정확한' 현실을 지도에 구현하기 위해 현실의 불확실성은 어떻게 처리되고있을까. 일시적인 환경은 시간과 효율성을 변수로 업데이트되고[3], 미처 파악하지 못한 데이터의 사각지대는 플랫폼 생태계의 바운더리 속에서 자발적으로 공유된 데이터(리뷰, 사진, 피드백 등)를 통해 현실과 동기화된다. 개인들의 플랫폼 노동을 통해 공유된 데이터 일부는 불투명한 기준으로 탈락된다. 이미지만으로 만들어진 세계[4] 속에서 경험은 완벽히 통제가 가능해지고, 현실은 여러번 시뮬레이션된다.
완벽한 디지털 지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가치를 부여받지 못하고 탈락한 데이터들, 관점들과 그 속의 사건들을 함께 살펴본다. 어디까지가 승인되고 탈락하는 데이터일까?
- 당신의 경험을 가장 빠르게 공유하세요[5] / 지도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포인트를 받으세요[6]
- 97%의 사람들은 모르고 행한 인류공헌[7] / reCaptcha[8]
탈락된 데이터
- 기계학습과 지도 업데이트[10]
- 위치와 방향성 개선을 위해 선택, 탈락된 데이터들[11]
- 스트리트뷰에서 제거된 독일의 집들에 대한 의견들[12] / 스트라이샌드 효과[13]
- 구글 지역 가이드 유저가 제공한 밤의 스트리트뷰는 삭제되었습니다.[14]
어긋난 데이터
- 트랩 스트리트[15]
3. 사건들
디지털 지도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아날로그 지도의 제작, 표현방식[16]에서 제작 목적과 당대를 바라보는 관점[17] 등이 관찰되는 것과 같이, 현재의 디지털 지도와 연결된 사건들을 깊이 들여다보며 그 속에서 중요하게, 반복적으로 다뤄지는 것, 복합적인 위치에서 서로 얽혀있는 동시대의 관점들을 이끌어낸다.
디지털 지도와 얽힌 사건들
- 기억의 부속물로서의 스트리트뷰와 통제할 수 없는 기록됨[18]
- 코스타리카와 니카라과 분쟁의 중심에서[19]
- 리투아니아와 에스토니아의 세금 속임수 적발에 대한 댓글[20]
- LA의 도시교통문제[21]
- NYPD의 검문소 삭제요청[22]
- 인공위성의 촬영 해상도[23] / What Spatial Resolution Is Enough?[24]
4. 가상현실과 역재현
선별되고 해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실이 다시 재현되기 시작한다.[25] 가상현실로서의 디지털 지도와 그곳에 담긴 새로운 욕망들[26]. 가상의 ‘맵’에서 발생한 새로운 룰(Rule)이 다시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가 혹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 ‘완벽한 현실’은 어떻게 현실에서 분리되는가.
- 스트리트뷰 속 자동차로부터 추정되는 인구통계의 활용[27]
- 기계학습을 통해 '빅데이터'가 되는 스트리트뷰 이미지 [28]
- 거리수준의 환경인식과 그린캐노피 인식 개선 [29]
- 디지털 트윈 싱가포르 [30]
게임 속 맵에서 발생한 새로운 룰
- 매핑의 미래는 게임의 과거일지도 모른다.[32]
- 게임 속 지도의 비밀[33]
- 게임과 자율주행 학습[34]
5. 맵탈출[31]과 해킹 문화
게임 맵 밖으로 탈출하기 위해 실제 유저들은 게임이 제시하는 본래의 목적(미션)을 뒤로 하고, 대각선으로 걷기, 공간 사이 틈에 끼이기 등 게임 속 버그를 활용해 주어진 조건을 축소, 증폭하며 게임의 구성 방식을 탐색하고 미지의 공간을 점유한다.
게임 속 공간을 자발적으로 탐색하는 맵탈출 행위를 통해 아직 디지털 맵에 구축되지 않은 물리적 공간들을 탐험하고, 플랫폼 방식을 오용하여 디지털 지도와 가상 공간을 해킹한다. 현실을 복제, 번역하며 새로이 구축되는 가상공간에 대한 개념을 탐색해 나가는 현재, 선별되지 못하는 순간적이고 유동적인 모습들을 가상공간에 업로드하고, 비가시적인 필터링을 통해 탈락된 데이터에 대한 화두를 던지면서 탈락된 것들이 사실 무엇으로 부터의 탈락인지 다시 생각해본다.
6.
공간의 시공간적 데이터를 포함하며, 사실대로, 있는 그대로 보여지[34]는 3D 공간 스캐닝 기술, 다각도에서 촬영한 사진데이터를 분석 후 3D 모델과 공간으로 생성해주는 서비스들을 이용해 현실을 복제한다.
2021년 여름, 부산에서 레지던스 작업으로 구글 스트리트뷰 가이드라인에 맞추되 보편적 기대와 어긋난 스트리트뷰를 제작, 업로드했다.
5개월이 지난 현 시점(2022.04), 업로드한 6개의 스트리트뷰 중 하나는 현재 구글맵에서 보이지 않게 되었다.
업로드한 이미지 중 가장 현실과 닮은 이미지이지만 하늘이 어두워 밤으로 분류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 및 링크
[1] '최단거리'라 했는데, "왜 이리 숨찬지…", 머니투데이 (https://m.news.nate.com/view/20190119n02175?mid=m03)
[2] On Exactitude in Science, Jorge Luis Borges (kwarc.info/teaching/TDM/Borges.pdf)
[3] Towards Lifelong Feature-Based Mapping in Semi-Static Environments (static.googleusercontent.com/media/research.google.com/en//pubs/archive/44821.pdf)
[4] Google Keynote (Google I/O ‘22) (youtu.be/nP-nMZpLM1A?t=545)
[5] Google gets cameras Street View 'ready' (www.cnet.com/culture/google-360-cameras-street-view-ready/)
[6] Points, Levels, and Badging, Local Guides Help, Google (support.google.com/local-guides/answer/6225851)
[7] 97%의 사람들은 모르고 행한 인류공헌, 리캡챠 (thebetterday.tistory.com/entry/Recaptcha)
[8] reCaptcha (www.google.com/recaptcha/intro/invisible.html?ref=producthunt)
[9] Google 지도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 정책 (support.google.com/contributionpolicy/answer/7422880?hl=ko&ref_topic=7422769)
[10] Updating Google Maps with Deep Learning and Street View (ai.googleblog.com/2017/05/updating-google-maps-with-deep-learning.html)
[11] Using Global Localization to Improve Navigation (https://ai.googleblog.com/2019/02/using-global-localization-to-improve.html)
[12] Content Moderation Case Study: Google 'Removes' German Residences From Street View By Request (2010) (www.techdirt.com/articles/20210217/15054846264/content-moderation-case-study-google-removes-german-residences-street-view-request-2010.shtml)
[13] 스트라이샌드 효과, 위키피디아 (en.wikipedia.org/wiki/Streisand_effect)
[14] night mode view for Google Street View, Google Local Guids Connect (https://www.localguidesconnect.com/t5/General-Discussion/Why-night-mode-view-for-Google-Street-View/td-p/1318333)
[15] Trap street : the road not taken (https://www.cabinetmagazine.org/issues/47/bridle.php)
[16] 지도투영법,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B%8F%84_%ED%88%AC%EC%98%81%EB%B2%95)
[17] Cartography,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artography)
[18] People keep finding late loved ones on Google Map (https://www.vox.com/recode/22539126/google-street-view-maps-dead-relatives)
[19] Nicaragua Raids Costa Rica, Blames Google Maps (https://searchengineland.com/nicaragua-raids-costa-rica-blames-google-maps-54885)
[20] Lithuania And Estonia Use Google Maps Street View To Catch Tax Cheats (www.techdirt.com/2013/04/18/lithuania-estonia-use-google-maps-street-view-to-catch-tax-cheats/)
[21] L.A. Lawmakers Looking To Take Legal Action Against Google For Not Solving Long-Running City Traffic Problems (https://www.techdirt.com/2018/04/24/la-lawmakers-looking-to-take-legal-action-against-google-not-solving-long-running-city-traffic-problems/)
[22] NYPD Sends Letter To Google Demanding It Remove Cop Checkpoint Notifications From Google Maps (https://www.techdirt.com/2019/02/08/nypd-sends-letter-to-google-demanding-it-remove-cop-checkpoint-notifications-google-maps/)
[23] Google's Satellites Could Soon See Your Face from Space (www.vice.com/en/article/8qx54b/googles-satellites-could-soon-see-your-face-from-space)
[24] Satellite Data: What Spatial Resolution Is Enough? (https://eos.com/blog/satellite-data-what-spatial-resolution-is-enough-for-you/)
[25] 스트리트뷰 우수사례, Google (www.google.com/intl/ko/streetview/case-studies/)
[26] Earth2 Inception - 2020 (www.youtube.com/watch?v=fa4hHBP-kOw)
[27] Using deep learning and Google Street View to estimate the demographic makeup of neighborhoods across the United States (www.pnas.org/doi/10.1073/pnas.1700035114)
[28] How can social scientists and policymakers use Google Street View data to help build healthier communities? (blogs.lse.ac.uk/impactofsocialsciences/2015/12/08/how-we-can-use-google-street-view-data-to-help-build-healthier-communities/)
[29] Exploring the Green Canopy in cities around the world, Treepedia (senseable.mit.edu/treepedia)
[30] Virtual Singapore, N.R.F (www.nrf.gov.sg/programmes/virtual-singapore)
[31] '맵탈출' 검색, Youtube (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B%A7%B5%ED%83%88%EC%B6%9C)
[32] Mapping's Future Looks Like Gaming's Past, Joe Morrison (joemorrison.substack.com/p/mappings-future-looks-like-gamings?s=r)
[33] 자율주행 AI 학습, GTA로 한다? (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12035)
[34] Leica, Reality capture (leica-geosystems.com/ko-kr/industries/reality-capture)